영화의 배경은 소련과 미국간 냉전시대이다.
미국을 위협하기위해 소련은 쿠바를 거점으로 미국을 위협한다.
소련스파이가 쿠바를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었고, 핵전쟁이 일어나도 이상할 일이 없는 시대이었다.
정보의 시대이었으며, 정보가 돈이 되는 시대이었다.
영화도 돈이 문제였다.
Marvel Cinematic Universe는 여성캐릭터 매출에 고민을 하고 있으며,
COVID 19로 인해 2020년 작품이 일년 늦게 개봉되었다.
Natascha Romanoff(Black Widow)는 메인 빌런이 아니었다.
악당을 저승으로 데려가는 망토입은 별볼일 없는 캐릭터였다.
그러나 이념 전쟁을 대신하여 비주얼에 관심이 쏠렸고,
성적 어필과 함께 다양한 남자(호크아이, 머독, 윈터솔저등)와의 관계는 그녀를 주목하게 되었다.
결국 냉전시대에 Red Room에서 세뇌당한 인물이, 소련에서 훈련 받은 사람이, 미국에서 어벤져스가 된다.
Natascha Romanoff의 유사 여동생은 Yelena Belova는 소련사람이며,
Natascha는 Yelena에게 연민과 죄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연민과 죄의식은 Red Room 안에 Widow에게 까지 확대되었다.
학원에 갇힌 아이들, Red Room에 갇혀 있는 Widow
의미 없는 지식에 몰입하는 아이들, 세뇌당하는 Widow
Black Widow (블랙 라벨의 1등 Widow)가 먼저 학원을 빠져나와
아이들을 구출한다.
스칼렛 요한슨의 여성성과 제작자로서의 부담을 함께 볼 수 있는 대목이다.
Task Master를 무찌른 마블의 태극기 캐릭터 태원이 북한 주민을 구출한다면,
적이 필요한(매출이 필요한) 마블의 마케팅 전략일 뿐이다.
엔딩크레딧 이후 호크아이가 나오는 것은,
아직 다루지 않은 인물로,
구석에 있는 팔리지 않은 물건을 꺼내는 상인의 마음과 다를 것이 없다.
'Das Ki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r Golem(1920) Wie er in die Welt kam, Paul Wegener (0) | 2024.06.02 |
---|---|
Von morgens bis mitternacht(1920), Karlheinz Martin (0) | 2024.06.01 |
스위트홈(2020), 넷플릭스, 청소년 강추 19금 드라마 (2) | 2020.12.20 |
아이유의 페르소나(2019) (0) | 2020.08.30 |
Taxi driver(1976), Alienation of Misfit (0) | 2020.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