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s Leben

(7)
Challenge Roth 2024, 관광 철인 시점으로 240703 수 새벽 첫 지하철 타고, 공항 도착  인천공항 부터 이미 만취 ^^공항 라운지를 한 번도 이용해 본 적 없는데,비행기 타기 바로 전까지 마실 수 있는 공간. 이코노미로 비즈니스 분위기 내려면, 여기서 컵라면 먹고 가는 게 국룰이라 함.The Rounge라는 어플을 사용하면,할인된 가격으로 기다림 없이 먹을 수 있다함. ^^;;;;;같이 간 동네 동생 덕분에 여행 편하게 시작  비행기 좌석은 맥주와 와인을 감안하여 화장실과 가까운 뒷 내측으로 예약 ^^;;;----------------------------------------------좋아하는 최강야구와 조카애(초2)가 봤다는 쿵후펜더 4를 시청함.비행기 소리 때문에 소리가 잘 안들림. 자막있는 영화를 찾다가 눈에 띄는 영화 「 Nomad..
성평등에서 생태 ·환경적 접근으로, 다시 사람 그 자체로 1. 생태론적 접근이 필요 성교육의 필요와 성문제에 대한 드러냄은 우리가 해야 할 임. 그리고 여성과 남성의 역할을 분배하지 말고 서로가 잘하는 일을 하는 것도 당연함. 그러나 남자, 여자가 유전적으로 동일하고 같다는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음. 인간은 생존에 유리하게 진화 발전해 왔음. 여자가 부락에 있으면서 관계에 대한 이해가 높게 발전해 왔으며, 남자는 사냥을 위해 근육량이 증가하였음. 중세와 근대, 현대를 넘어오면서, 성별 능력의 편차가 감소하였으나 같다고 볼 수 없음. 유전, 생물학적으로 같다고 정의하는 것보다, 유전 생물학적으로 생존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 발전하였으며, 이러한 발전이 우리 사회가 지속가능하게 되었음. 2. 다양한 사회환경에 대한 이해 필요 양성평등이 이루어지면, 여성의 경력단절..
죽음(불안과 형이상학의 시작)에 관하여 1. 살아있는 것이 이상한 것임. 인간이 생각하는 죽음에서 벗어나는 것이 필요. 지구에만 살아있는 생명이 이렇게 많을 뿐, 우주로 생각을 넓히면, 살아있는 것은 거의 없음. 죽는다는 것(아니 죽음의 상태)은 우주 관점에서 보면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임. 2. 죽음 이후의 삶 죽음 이후에는 원자로 영원히 살아남을 것임. 인간의 형태가 아니라도, 나무가 될 수도, 좋아하는 책도 될 수 있고, 멀리 별이 될 수 있음. 물론 학살을 위한 독가스도, 전기 의자도, 채찍도 될 수 있음. 세상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그건 우리의 의지가 아님. 3. 그럼 왜 살아야 하는가? 스스로 납득할만 이유를 찾아야 함. 지난 과거로부터, 생각으로부터, 주변으로부터....
A Strange Fruit and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처음부터 미국 백인들은 비열했다. 1800년대 초자신들이 부려먹을 수 있는 하인은, 자신들의 약점을 알고 있다는 이유로 노예로 삼지 못 했다.원주민들은 언제라도 자신의 대갈통을 향해 화살을 날릴 수 있었다.고무때문에 손목 짤려나간 사람들을 노예로 다시 써먹기 시작했다. 남북전쟁 이후북부에서는 자유인이 된 흑인은 백인의 경쟁상대가 되기 시작하였고,남부에서는 백인의 흑인에 대한 인권유린의 자유가 지속되었다. 그 결과 남부지방에서는 여러 나무에 이상한 열매들이 계속 달리게 되었다.그 이상한 열매는 정장을 입고 바라보는 공식적이고 재미있는 구경거리였다. 1959년youtu.be/-DGY9HvChXk남부의 나무에는 이상한 열매가 열린다,잎사귀와 뿌리에는 피가 흥건하고,남부의 따뜻한 산들바람에 검은 몸뚱이들이 매달..
고통은 행복의 ATM. 하루하루 일하고, 먹고, 자면, 뭘 하는 짓이지 의문이 들지. 힘들면, 더 힘들게 해 봐. 절뚝절뚝 거릴 정도로, 그리고 멈추면 바로 확실하게 행복해져. youtu.be/ex7q4fbZ7Yg youtu.be/FGGabfi_eIQ
곧 소멸한 것들의 영원한 것과 변화하는 것 모든 물체는 소멸, 생성된다. 소멸하는 것은 변화하는 것들에 대한 불안하기만 하다. 변화의 끝은 소멸이기 때문에 변화를 거부하고만 싶다. 형이상학이라는 있지도 않은 단어를 만들어가면서, 영원한 것을 찾아간다. 발음하기도 힘든 야훼를 만들고, 알라의 말을 외우고야 만다. 불안감 때문에 영원 불변할 것이라는 이상향, 종교와 믿음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는 불안함을 유발시키는 사람들에 대해, 종교와 믿음을 부정하는 사람들에 대해,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게 된다. 종교와 믿음은 얼마나 쉽게 변화해 왔는가? 대부분의 변화는 그래도 소멸되는 것들을 위해 유리하게 진화해 왔다. 불안해하지 말자. 변화는 있을 수 밖에 없다. 변화가 우리를 위협한다면 싸우고, 변화가 우리에게 도움이 된다면 함께 하자. 道可道非常道 영원한 ..
살아가는 것을 정리하기로 했다. 곧 끝날 삶이지만, 혼자보다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더 빠르게 세상을 이해해보려 시도하기로 하였다. 틀리면 수정해 가면서, 조금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