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코너

(2)
「Everything That Rises Must Converge」1965, 사랑일 뿐이야. 1. 극적 이야기의 이유 「A Good Man Is Hard to Find」에서 Misfit이 할머니를 죽이고, 「Good Country People」에서 다리를 빼앗기고, 「Everything That Rises Must Converge」에서 어머니가 길거리에서 맞아 죽는다. 오코너는 마무리를 위해 극적으로 기술하는가? 쓰다 보면 같은 패턴에 본인도 지겨울 텐데 말이다. 독자가 자신과 같은 신자가 아니고, 믿음이 없다는 가정 아래, 평범한 의사 전달 방법(more normal means of talking)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고자 한다. 1) Julian과 어머니, 다르 것 같지만 붕어빵 Julian의 어머니는 가난하지만 비싼 모자로 이웃과 자신을 구분하려 하고, 노예를 부리던 가문임을 ..
좋은 시골 사람들(Good country people), Alienation의 은총 이야기는 1950년 조지아의 시골 농장으로 세팅되어 있다. 시골 농장에 몇 명 안 되지만, 앞서 『A good man is hard to find』 보다 더 현실적이고, 더 많은 부적응자들이 있다. 1. 현실적 죽이는 것보다 wooden leg를 홈치는 게 더 개연성 있다. 지나가는 일가족을 살해하는 것보다, 뚱뚱한 장애인 여자를 사기 치는 것이 더 현실적이다. 잦은 노출은 무뎌지게 마련인데, 샘은 점점 더 자극적인 소설로 유도하고 있구나. 2. 자질구례하고 흔한 alienation 1) Mis-fit in their home(1, 1p) (1) Joy-Hulga는 중도 장애인이다. 6.25 전쟁이후 손과 발이 절단된 지체 장애인이 우리나라에도 무척 많았다. 1990년대까지도 우리에게 장애인은 함께 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