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은 「과거」(Was), 「불과 벽난로」(The Fire and the Hearth), 「흑인 어린광대」(Pantaloon in Black), 「옛 사람들」(The Old People), 「곰」(The Bear), 「델타의 가을」(Delta Autumn), 「모세여, 내려가라」(Go Down, Moses)시리즈 중 한 편이다.
이 작품들은 형식과 내용이 일관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 이유는 경제적 이유라는 설이 있다.
「곰」은 5장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3개의 이야기로 정리할 수 있다.
1) 샘을 통해 숲과 올드 벤을 만남.
2) 올드 벤과 샘의 죽음
3) 유산을 포기하는 아이크와 이후의 삶
다른 작품과 마찬가지로 5개 장은 시간의 흐름을 따르지 않는다.
4장은 가장 마지막 시간으로, 4장 빼놓고 읽어도 될 정도이다.
4장은 곰과 연계된 다른 소설의 접점이고 에필로그가 된다.
1. 숲과 사냥
당시 미국 소설에서 자연은 숲은 모비딕의 바다처럼 공포와 함께 세상의 진실을 가르쳐 준다(제임스 스니드).
그러나 「곰」에서 숲은 인간의 원죄를 인식하는, 자연을 넘어서는 경외심이다(클릭스 브룩스). 아이크가 매캐슬린에게 성경 내용을 이야기하면서, 유산을 거부하는 것은 그를 뒷받침한다.
사냥은 인간이 자연의 일부가 되어가는 과정이다. 사냥이 이루어지는 숲 안에서는 인종과 노소에 대한 차별이 없다. 올드 벤과 라이언을 통해, 동물과 인간의 차이도 없다. 샘은 혼혈 노인이지만, 아이크를 숲의 진실로 이끌어 간다. 아이크는 숲을 물려받을 사람이지만, 숲과 숲 속의 동물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한다. 백인 부모에게서 태어났지만, 제대로 된 숲의 모습을 보는 방법은 샘에게 배운다. 자연은 우리이며, 우리 전체이기 때문에 누구라도 혼자 소유할 수 없다.
샘은 차별이 없는 숲에서 자유인이다. 자연은 혼혈 샘에게 인종을 묻지 않고 생존가능 여부만 묻는다.
2. 곰
숲의 수호신 올드 벤은 전설이자 신화이다. 곰의 위용을 통해 아이크는 거듭난다.
아이크는 샘이 알려준 것처럼 총 없이 올드 벤을 만나러 간다. 길을 잃어버리고 나침반과 시계도 놓고 간다. 그제야 비로소 햇살 아래 나침반, 시계, 올드 벤, 길을 발견한다. 자신의 모든 것을 버리는 결단의 순간, 올드 벤을 발견한다.
올드 벤은 아이크를 남겨두고 다시 자연속으로 들어간다. 그 이후 아이크는 담대한 인물이 된다.
아이크는 총을 가진 채로 올드 벤과 다시 만나지만, 쏘지 못한다. 샘 역시 올드 벤을 죽이지 못한다. 올드 벤은 죽이면 안 되는 존재이다. 숲에 들어오는 모든 것들의 자유를 수호하고 있는 존재이다. 그 들의 자유도 올드 벤으로 인해 보장된다. 아이크와 샘은 동기화되었다.
3. 올드 벤과 샘, 숲의 주인공들의 죽음
아이크의 두려움과 경계의 대상이었던 라이언, 그리고 분이 올드 벤을 죽인다. 분과 라이언이 숲의 수호자 곰과 진정한 숲의 주인 샘을 죽인다. 올드 벤의 죽음으로 샘은 끝없는 절망에 빠지고, 결국 죽음에 이른다. 샘의 죽음은 수호자 올드 벤을 지키지 못한 진정한 주인의 자책감이었다.
올드 벤을 사냥하는 자리는 사실상 상견례 자리였고, 살아있는 자연과 자유를 목도하기 위함이었다.
올드 벤은 없다. 올드 벤의 죽음과 더불어 아이크는 이상 속에 정지하고 실제 생활에서 쇠멸하게 되었다(존 헌트).
올드 벤이 없는 숲은 더 이상 자유가 보장된 숲이 아니다. 인간의 욕망이 언제라도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며, 억압과 차별이 가능한 공간이 되었다.
결국 아이크는 억압과 차별의 주관자로서의 백인을 포기하고, 상속을 포기한다. 형식적으로 상속을 포기하지만, 실은 처음부터 숲은 소유의 대상이 아니었다.
4. 반본 환혼의 배경
맥캐슬린 가문은 인디언들로부터 빼앗다시피 숲과 땅을 차지해서 흑인의 노동력을 갈취하였다. 올드 벤, 샘과 함께한 아이크는 이에 동참할 수 없었다.
아이크에게 강탈한 땅과 착취한 흑인들에 대한 더러운 행위를 자행했던 할아버지의 행위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었다. 할아버지는 흑인 노예 유니스를 강간하고, 그 노예를 다른 남자와 결혼시키고, 유니스의 딸(자신의 손녀) 토마시나까지 범한다. 결국 유니스는 자살한다.
아이크는 할아버지의 인간말종 행동을 벗어나고자, 상속을 받지 않고, 착취의 세계에서 벗어나 살아간다.
하지만 남부에는 어떤 변화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자연에 대한 지배와 노예 착취는 계속되었기 때문이다.
백인의 원죄에 대해 속죄하는 아이크는 예수처럼 목수로 늙어간다.
상속을 포기한 아이크가 예수 그리스도처럼 목수로 살아가는 것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하고 있다(제시 커피).
5. 세상으로 나아간다.
이런 세계관과 자연관은 후에 포크너의 발언으로 바로 연결된다.
1950년에는 자신이 거주하던 미시시피 멤피스 시의 커머셜에서 흑인 인권문제를 기고하였으며, 흑인 소년 에멧 틸(Emmett Till)의 살인사건에 대한 재판 과정에 대한 불평등도 제기한다.
1956년 9월 에보니(Ebony)지에 실린 기고는 「흑인 인종의 지도자에게 보내는 서한」("A Letter to the Leader in the Negro Race")이었지만, 원 제목은 '내가 만약 검둥이라면'(If I were a Negro)였다. 그는 흑인들이 백인들보다 우수하다는 견해와 함께, 자신을 '검둥이'로 치환함으로서 진정성을 확보하였다.
1958년 2월 20일 버지니아 대학에서 포크너는 흑인 인권에 대한 대표적 발언을 한다.
"백 년 전, 에이브라함 링컨은 말했다. 이 나라는 노예가 반이고, 자유인이 반인 상태로는 용납될 수 없다. 그가 만약 오늘날 살아 있다면, 다음과 같이 수정할 것이다 : 이 나라는 육체적 외관상의 결함으로 인해 이등 국민으로 존재하는 10퍼센트의 소수가 있는 한 용납될 수 없다."
How many roads must a man walk down
사람은 얼마나 많은 길을 걸어야
Before you call him a man?
사람이라고 불릴 수 있을까?
Yes, 'n' how many seas must a white dove sail
흰 비둘기는 얼마나 많은 바다를 건너야
Before she sleeps in the sand?
모래밭에서 편안히 잠들 수 있을까?
Yes, 'n' how many times must the cannon balls fly
얼마나 많은 포탄이 날아가야
Before they're forever banned?
영원히 포탄 사용이 금지될 수 있을까?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친구여, 그 대답은 바람결에 흩날리고 있다네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그 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다네
(바람 만이 그 대답을 안다기보다는
그 답은 바람 속에 있는데, 바로 우리 옆에 있는데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뿐임
움직이는 바람처럼 우리가 움직이면 그 답을 찾을 수 있음).
Yes, ‘n’ how many years can a mountain exist
산은 얼마나 오랜 세월을 서있어야
Before it's washed to the sea?
바다로 씻겨갈 수 있을까?
Yes, 'n' how many years can some people exist
도대체 얼마나 많은 세월을 살아야
Before they're allowed to be free?
자유로와질 수 있을까?
Yes, 'n' how many times can a man turn his head,
도대체 얼마나 여러 번 고개를 돌려야
And pretend that he just doesn't see?
보이지 않는 척할 수 있을까?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친구여, 그 대답은 바람결에 흩날리고 있다네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그 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다네.
Yes, ‘n'’ how many times must a man look up
사람은 얼마나 여러 번 올려다봐야
Before he can see the sky?
하늘을 볼 수 있을까?
Yes, 'n' how many ears must one man have
도대체 얼마나 많은 귀가 있어야
Before he can hear people cry?
사람들이 울부짖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Yes, 'n' how many deaths will it take till he knows
도대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어야
That too many people have died?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까?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친구여, 그 대답은 바람결에 흩날리고 있다네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그 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다네.
참고
William Faukner의 Americanism 연구 : 인종문제에 관한 주제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2020/06/13 - [Das Leben] - A Strange Fruit and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Das Lesen > Foulkn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음과 분노」, 절망의 시간 : 희망의 싹 (0) | 2020.09.19 |
---|---|
That evening sun(1931), 새로운 희망 캐디 (0) | 2020.08.31 |
1917(2019), Barn burning, The Bear (0) | 2020.08.30 |
Barn Burning(1939), Sarty와 동반 출가 (0) | 2020.08.23 |
『A Rose for Emily』유도된 살인 현장에 장미 투척 (0) | 2020.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