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n burning

(3)
아이유의 페르소나(2019) 1. 러브세트 아이유와 배두나의 몸매를 드러내고, 성적 관계 메타포를 지속적으로 드러낸다. 그리고 관객들에게 의미를 찾으라고 하고, 결국 찾을 수 있는 건 큰 의미 없는 성적 코드 이외에 별 것이 없다. '니들이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이 정도지'라고 하며, 현실을 돌아보게 한다. 2. 썩지 않게 오래오래 썩지 않게 오래오래 영원하다는 것은 거짓이다. 다만 영원할 것이라는 믿음은 세상 어디에나, 널려있다. 목숨을 내놓는다는 것은 긴 호흡으로 보면, 웃긴 일이다. 의미 없는 것에 자꾸 의미를 붙이는 남자는 멍청하다. 그래서 남자는 갇혀있다. 진정한 의미는 말(語)이 아니다. 아이유는 신(악마는 원래 천사이다)이다. 눈 색깔 하나로 진심을 끌어낸다. 살아있는 동안 진심으로 대하길 바란다. 3. 키스가 죄 Ba..
1917(2019), Barn burning, The Bear 배경은 1차세계대전 중인 유럽의 전선이다. 전쟁은 산업기술의 발전으로 무기와 인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전쟁은 지속된다. 1917. 4. 6은 미국이 중립을 깨고 전선에 참여하는 날이다. 명령에 따라, 함정에 빠져있는 2연대 연대장에게 공격 철수 메세지를 전달하러, 브레이크와 스코필드가 출발한다. 2연대에는 브레이크의 형이 있다. 브레이크는 독일인 군인을 도와주다 죽는다. (Barn Burning : 헛간이 불타고 브레이크는 어둠을 맞이한다) 스코필드는 프랑스 아줌마를 도와주고, 목적을 이루기위해 위험을 무릅씁고 달린다. (Time is the enemy : 우리 인생도 시간이 없다) 총도 잃어버리고, 칼도 없이 떠내려 오다, 아이크가 「곰」에서 아무것도 없이 곰을 따라다니다 곰을 발견하듯, 2연대를 ..
Barn Burning(1939), Sarty와 동반 출가 「Barn Burning」은 아버지 Abner가 지주들과 갈등을 일으키고, 이를 지켜보는 Sarty의 성장 과정이 주된 내용이다. Abner의 폭력과 그를 중심으로 한 계층 간 갈등, 가족이라는 굴레에 사로잡힌 Sarty의 불편한 혈연관계, Sarty의 혈연과 결연 사이 갈등이 핵심이다. 1. 두가지 관점. 소설의 Narrator를 누구로 보느냐에 따라 등장인물에 대한 평가가 달라진다. 'Abner 중심으로 폭력적인 태도를 보느냐, Sarty 중심으로 성장에 주목할 것인가'가 그것이다(신형헌). 1) Abner 중심이라면, Abner가 왜 반복적으로 헛간을 방화했는가에 관심(Charles Mitchell)을 가지도 하고, Abner를 악마의 나타냄으로 보고, 이야기를 바라볼(Willian Stein)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