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s Lesen

Young Goodman Brown(1835), 현실인식은 비극의 시작

맑은 여름하늘 2020. 10. 11. 23:38

1. 이야기

 

소설은 19세기에 쓰였지만 17세기 말 18세기 초 이야기이다.

 

세일럼 마을에 살고 있는 소작농 브라운은

아내 Faith를 집에 두고, 떳떳하게 외박을 감행한다(용자).

아내는 말리지만, 강력하게 주장하지 않는다(요즘 찾아보기 힘든 멍충이).

 

아내는 핑크빛 리본(naive의 상징)을 달고 있으며,

남편이 뒤돌아 볼 때까지도 그 자리에 서 있다.

 

브라운은 나무 뒤에 무엇이 숨어 있을 까 봐 걱정한다.

청교도가 핍박한 인디언이 언제라도 공격할 수 있다는 공포심이 있다.

 

엄숙하고 점잖은 사람 모습의 악마를 만난다.

「페이스 때문에 좀 지체하느라 늦어졌습니다」

믿음을 떨구느라 그는 늦었다. 그는 악마와 닮았다. 그리고 악마가 그를 닮았다.

 

뱀을 닮은 지팡이는 살아있는 듯하여 공포를 자아낸다.

뱀은 이브를 유혹했고, 이브와 아담이 그러했든

브라운은 호기심과 마을 공동체에 대한 마음속 불만으로 숲 속으로 들어간다.

 

악마는 청교도의 악행(마녀사냥, 퀘이크 교도 와 인디언 핍박)과 함께 하였으니, 

브라운에게도 피를 묻혀도 좋다고 한다.

그게 사악한 것인지 아니 것인지 모르겠지만

브라운에게 교리문답을 가르쳐 주었던 아주머니는 마녀였다.

악마는 듣는 사람의 가슴속에서 저절로 솟아오르도록 말하게 한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우수하다.

 

브라운은 호기심은 있어도 겁도 많다.

주저앉아 있는 데, 목사와 쿠킨 집사의 목소리가 들린다.

 

「하늘에 천국이 있고, 땅 위에는 페이스가 있으니 악마에 대항하여 굳게 싸우리라」라고 

소리치자 온 마을 사람들이 다 보이고 그들은 페이스를 추종한다.

웃음소리와 함께, 하늘에서 핑크색 리본이 나무에 걸쳐진다.

페이스는 떠났다. 그리고 브라운은 미친다. 무너진다.

 

간단히 지팡이를 들자 악마의 세계로 날아가듯 흡수된다.

지팡이는 의지할 수 있는 물건이 아니라, 악으로 몰아가는 상징이다.

가장 악마다운 모습으로 변신한 그는 집회 현장에 도착한다.

그곳에는 독실한 교인, 정숙한 부인, 아름다운 아가씨, 방탕한 남자, 평판 나쁜 여자, 용의자가 함께 하고 있다.

 

개종자들 앞에는 검은 형상이 있고

뒤에는 악마를 숭배하는 마을 사람들이 있고,

그 사이에는 페이스가 있다.

 

「하늘을 올려다봐요. 그리고 사악함을 물리쳐요!」라고 외치자

바람소리를 듣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기댄 바위는 차고 축축해서, 깨어난 현실임을 알려준다.

 

끔찍한 흉몽이던 현실이건 간에,

이제 청교도의 어두운 과거와 현실을 명확하게 인식하였고,

청교도의 공동체에 더 이상 어울릴 수 없게 되었다.

 

그는 노인이 되어 죽어서도 희망을 새길 수 없게 되었다.

 

2. 배경

 

1) 청교도

 

 (1) 개요

 1603년 영국 왕이 청교도에 더 많은 세금을 멕이고 탄압하자

 1620년 청교도들이 미국으로 망명하게 된다(우리의 종교는 정치를 탄압한다). 

 1640년 청교도들은 혁명으로 공화국 설립하게 된다(모 목사가 꿈꾸는 사회)

 미국 청교도는 자유를 꿈꾸며, 구원은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의한 것이다(예정설).

 신의 뜻을 알기 위해서, 성경을 글자 그대로 해석한다. 성경 읽기가 중요하다(하버드는 청교도가 만들었다). 

 열심히 일하고 도덕적으로 사는 것이 신의 은총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돈이 쌓이기 시작한다.

 목사, 집사 등의 위계질서가 있으며, 함께 모여 집회를 좋아한다.

 청교도의 공동체는 작고, 서로에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종교 지도자에게 의존한다.

 술과 성생활에 대해서는 인정하면서도 여성은 가정과 믿음(Faith)을 유지하라고 한다.

 여자의 즐거운 성생활은 허용되지 않는다. 

 브라운이 페이스를 의심하는 것은 청교도를 의심하게 되는 것이다.

 

 (2) 소설 속 박해의 역사

 1692년 Salem Witch Trial(1692) 브라운의 할아버지는 재판관으로 무고한 25명을 죽인다.

 그리고 할아버지는 퀘이커 교도 여인을 채찍 한다.

 퀘이커교도들에게 인간은 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자신의 내재된 신성을 갈고닦으면 구원받을 수 있다.

 청교도의 예정설과 갈등할 수 있다. 그러나 청교도가 지배하고 핍박할 수 없다. 

 퀘이커에게 신 아래 인간은 모두 동등한 사람들이며 모임의 장소를 따지지 않는다.

 자유와 교회의 속박으로 벗어나기 위해서, 망명한 청교도들은 이율배반적으로 위계질서를 세운다.

 목자, 집사 장로... 그리고 인간은 모두 동등하다고 말하면 탄압한다.

 아버지는 인디언 부락에 칩입하여 불을 지른다.

 원래 조상들의 이야기는 친인척을 통해 들으면, 과장되고,

 다른 사람을 통해 들으면 상처 받는다.

 

 증조할아버지는 동네 가톨릭 신부와 함께 독립운동을 하셨다고 하고,

 다른 사람들은 동네 유명한 깡패라고 하기도 한다.

 

2) 전형적인 Gothic(Dark) Romantics

낭만주의는 사회 속의 인간, 보편적 인간, 계몽과 이성을 벗어나

개별성, 독특성, 개인의 극단적인 경험에 관심을 가진다.

자연과 자연 속의 인간을 다루며,

상류 귀족의 언어에서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낭만주의를 깊고, 어둡고, 기괴한 곳으로 이끈다. 

 

2) 보통의 인간

브라운은 귀족인 젠틀맨과 여자 사이의 평범한 굿맨이다.

우리는 퀘이커 교도의 말처럼 선과 악이 공존하고 있으며,

우리 자신과 사회의 문제를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자신을 제외하고 사회의 문제를 떠들면서, 개선을 위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자신은 악이 아니라고 이미 결정하고 있다.

현실과 꿈을 헤갈려하면서, 현실 속에서 다른 사람을 의하고 믿음을 가지지 못한다.

악마가 원하는 삶을 지속한다.

 

3) 마을 공동체

 

모든 사람이 서로를 다 아는 동네이다. 

 

(어릴 적 용문역에 도착하면,

집안에서 할머니는 몇 시에 도착했는지, 읍내 어디서 놀고 있는지 다 알고 계신다.

역전 고깃집 아저씨가 돼지고기 비계를 샀으니, 

할머니에게 무와 파를 준비하시는 것이 좋다고 전화를 넣으신다.

CCTV가 없어도 딴짓하고 늦게 들어가면 어디서 무얼 하였는지 다 걸린다.

알면서도 딴 짓은 감행 된다. ㅋㅋ)

 

브라운은 마을을 떠나 숲으로 도망가려 했으나, 다시 공동체로 들어가려 한다.

그는 낯선 곳에서 혼자 살아본 적 없다.

모든 것을 공동체에서 결정하고, 공동체의 의지가 개인의 양심을 지배한다.

목사와 집사를 보고 숨는다. 주변의 믿음이지 자신의 믿음이 아니다.

 

4) 믿음의 붕괴 또는 변명거리

 

브라운은 아버지와 할아버지에게 1차로 무너지고,

마을 사람들의 본모습에서 2차로 무너지고

마지막 아내 Faith에서 완전히 미쳐 버린다.

Faith는 마지막 보루였었다.

 

Faith의 치맛자락을 붙잡고 천국 간다고 하였는데, 

Faith의 리본이 떨어졌을 때, Faith의 목소리를 들으며,

확실히 무너진다.

 

그러나 믿음의 붕괴 원인을 아내 Faith에게 돌리는 얄팍한 변명으로 들린다.

 

5) 혼돈

 

 (1) 시점

 브라운 관점에서 주로 진행되지만, 집사와 목사를 발견하면서 숲 속에 숨는다.

 이제 브라운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여준다. 

 성장한 것인지, 3인칭 전환인지 모호하다.

 그리고 현실인지 꿈인지 알지 못하게 한다.

 

 (2) 장소와 인물 

 

 Salem이라는 장소, 브라운의 성격이 드러나지만

 핵심적인 사건이 일어나는 숲 속이 어디인지 특정하지 않고,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지 않는다.

 악마를 통해 탄압과 배신의 역사를 알게 되고, 실제 마녀로 재판을 받았던 사람과 집사 이름이 등장한다.

 

 

4. 정리

 

인간은 나약하다. 타락과 다른 사람으로부터 물드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중이 되고 싶으면 숲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중생과 함께 하면 어떻게 될지 뻔하다.

무리 속에 있으면서, 자신을 그렇지 않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것이다.

 

정말이지 유령들이 출몰하는 모든 숲 속에서 굿맨 브라운의 모습보다 더 끔찍한 모습은 없었다(15).

 

악마는

백발의 장로가 하녀에게 성적 희롱을 하고(아직 이런 인간들은 워낙 많고),

마누라가 상복을 입고 싶어 약을 먹이고(아직도 여성범죄의 수법임),

유산을 위해 보모를 죽이고(뉴스에서 얼마 전 본 것 같은데)

아가씨들이 낙태를 하는 상황(요즘 핫이슈)을 친절히 알려준다.

 

너희들 인간의 마음속 죄에 대한 공감으로, 너희들은 교회에서건, 침실에서건, 길거리에게 건, 들판에게 건, 숲 속에서건, 최악이 행해지는 모든 장소를 그 냄새로 다 알아내게 될 것이고, 이 온 세계가 하나의 큰 죄의 얼룩, 하나의 큰 핏자국임을 깨닫고 기뻐하게 될 것이다(19). 

 

그리고 그것이 끝이 아니다.

 

하룻밤의 이야기가 인생 전체를 결정한다.

브라운의 비극이 이제 막 시작된다.

 

 

 

참고

www.youtube.com/watch?v=lOcOZQql8mw&list=PLSN_PltQeOyiDnNuRcT_tVG48Z7fe8swz&index=4

www.youtube.com/watch?v=so-b-O57DdU&index=5&list=PLSN_PltQeOyiDnNuRcT_tVG48Z7fe8swz